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초고령사회, ‘액티브 에이징(active aging)’ 위한 정책전환 모색

초고령사회, ‘액티브 에이징(active aging)’ 위한 정책전환 모색

- 경남연구원, 3일 고령친화도시 포럼 개최 - 노인인구의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 위한 정책 방향 제시 경남연구원(원장 오동호)은 3일 경남연구원 4층 남명경의실에서 “초고령사회 정책 전환 : 활동적 노화와 고령친화도시”를 주제로 ‘고령친화도시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초럼은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경남이 고령자가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국내외 사례를 공유하고, 경남의 현실에 부합하는 정책과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현재(2025년 5월 기준) 경상남도의 고령인구 비율은 22.4%로 전국 평균(20.5%)을 상회하고 있으며, 이는 도민 5명 중 1명 이상이 고령자인 셈이다. 이에 따라 고령자 복지정책의 초점을 단순한 돌봄과 보호에서 벗어나, 건강 유지, 사회참여 확대, 자립적 생활 지원 등 ‘활동적 노화(Active Aging)’ 중심의 접근으로 전환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날 행사는 이윤경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초고령사회 대응 정책방향’과 고영호 건축공간연구원 연구위원의 ‘활동적 노화와 고령친화도시’ 등 두 개 발제를 시작으로 ▲하석철 서울시복지재단 연구위원 ▲이재정 부산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오설미 창원복지재단 연구위원 ▲김순택 경남도의회 문화복지위원회 의원 등이 참여해 서울, 부산, 경남(창원)의 고령친화도시 운영 사례와 경남의 과제에 대해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윤경 선임연구위원은 활동적 노화를 지원하여 고령자를 사회의 중요한 자원으로 계속적으로 참여시켜 지속가능한 사회발전을 견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으며, 고영호 연구위원은 고령친화 지역사회 확산을 위한 경남도의 과제를 제안했다. 이어 서울시 초고령사회 대응 종합계획 수립 사례(하석철), 부산시 ...

정치/행정

more +

경제/산업/농업

more +

사회

more +

생활

more +

문화/여행

more +

포토슬라이드

Q요즘 같이 금융이 급변하는 시기, 여러분은 재테크를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요즘 같이 금융이 급변하는 시기, 여러분은 재테크를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직접투자 12표 (29%)
직접투자 12표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