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5-21(수)

전체기사보기

  • 통계뉴스2022년 코로나19로 인한 동남권 일상생활 및 예방행동의 참여현황
    코로나19로 인한 동남권 지역민의 일상생활 변화 및 예방행동 참여 현황 동남지방통계청은 지난해 동남권 지역민 6만 4995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동남권 지역민의 일상생활 변화 및 예방행동 참여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동남권 지역민의 일상생활 변화를 보면, 디지털기기사용 등‘집 안’에서의 활동은 증가한 반면, 가족·친구·동료모임 등‘집 밖’에서의 활동은 줄었다. 디지털기기사용은 51.6%가 늘었다고 응답하였으며, 남자, 60세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대,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늘었다고 응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자녀돌보기는 50.4%가 늘었다고 응답하였고, 여자, 30~39세, 비취업자에서 늘었다는 비율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았다. 가족 및 친구, 직장동료와의 모임은 코로나19 기간동안 가장 위축된 활동으로‘가족 및 친구, 직장동료 등과의 모임’이 87.5%가 줄었다고 응답하였고, 여성, 30대 이상, 취업자에서 줄었다고 응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 여가활동은 72.5%가 줄었다고 응답하였고, 여자, 30~39세,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줄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종교활동은 68.5%가 줄었다고 응답하였으며, 여자, 연령이 높을수록, 농어촌 거주자에서 줄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코로나19 유행으로 동남권 지역민은 바이러스 예방행동에 70% 이상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적극적(자주+항상)으로 참여한 비율은 손씻기·손소독제 사용 등 에서는 높았으나 대외활동 관련에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손씻기 및 손소독제 사용 행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비율은 96.7%이고,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행동 중 가장 높은 실천율을 보이며 전 연령대에서 높았다. 주기적 실내환기 행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비율은 91.1%이고, 여자, 30대 이상,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적극적으로 참여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모임취소 ․ 행사불참 행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비율은 75.2%이고, 남자, 20대 이하, 도시 거주자」에서 적극으로 참여한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또 외출자제 행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비율은 73.2%이고, 남자, 20대 이하, 도시 거주자, 삶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적극적으로 참여한 비율이 낮았다. 코로나19 예방행동의 인구집단별 참여수준을 보면 농어촌 거주자, 여자, 30대 이상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도시 거주자, 남자, 20대 이하에서 소극적으로 참여했다.
    • 통계소식
    2022-08-23
  • 경남도,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사업 우수사례 최종 선정
    - 국토교통부 2021 우수사례, 경남 ‘대청계곡 누리길 조성사업’ 선정 - 도내 개발제한구역 내 주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537개소에 사업 시행 경상남도(도지사 박완수)는 국토교통부 ‘2021년 개발제한구역 내 주민지원사업 우수사례’에 경상남도 김해시 대청동 일원에서 시행한 ‘대청계곡 누리길 조성사업’이 최종 선정돼 2023년도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사업 국비 5억을 확보하였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에서는 전국 각 시도에서 추진한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사업을 대상으로 서류·현장 심사, 발표평가와 평가심사위원회 등을 거쳐 전국 4개소를 우수사례로 최종 선정했다. 이번 우수사례에 선정된 대청계곡 누리길 조성사업은 대청천 생태하천~장유폭포~장유사~용지봉으로 이어지는 총연장 8km의 누리길과 등산로를 조성한 사업이다. 2017년 1단계, 2021년 2단계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국비 15억원을 포함 총사업비는 20억원이다.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사업은 개발제한구역 지정으로 불편을 겪고 있는 주민들의 생활편익 향상 및 복지증진을 위해 2001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 도내 개발제한구역 면적 : 461.284㎢ - 창원시 248.506㎢, 김해시 109.153㎢, 양산시 97.102㎢, 함안군 6.523㎢ 경상남도는 2001년부터 현재까지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사업으로 총 537개소에 1,642억원을 투입하여 도로, 주차장, 상·하수도, 소하천 등 생활기반사업, 누리길, 경관, 여가녹지시설 정비 등 환경문화사업, 녹색여가공간 조성목적인 생활공원사업을 추진하여 왔으며, 2023년에는 농로정비 등 생활기반사업 42개소, 누리길 조성 등 환경·문화사업 6개소, 구역 내 공원조성을 위한 생활공원사업 1개소 등 총 49개소*에 사업비 172억원을 국토교통부에 신청하였다. * 시군별 사업현황 : △ 창원시 21개소(불모산정상 조망길 조성사업 외 20개소), △김해시 22개소(낙동강둔치 생태정원 조성사업 외 21개소), △ 양산시 6개소(황산공원 도로 및 주차장 설치사업 외 5개소) 경남도는 그간 ‘2021년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사업 우수사례’ 선정을 위해 국토교통부 등 중앙부처에 수차례 방문하여 지역주민의 사업 만족도 및 사업의 적정성을 설명하였고, 선정을 위하여 평가위원들과 함께 현장실사 및 사업의 우수성을 설명하는 등 발 빠르게 움직여 왔다. 또한, 개발제한구역 주민환경개선 사업 추진 시 농로 및 구거정비, 제방보강 공사 등 구역 내 주민들의 불편 개선사업 외에도 누리길 조성, 여가녹지 조성 및 공원조성 사업 등 구역 주변 거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사업계획 단계에서부터 주민과 소통하여 의견을 반영하고, 자연친화적 조성을 위해 노력해왔다. 허동식 경상남도 도시주택국장은 “주민지원 사업으로 주민들의 생활불편이 개선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녹색여가공간 조성 대상지를 더욱 발굴하여 개발제한구역 내 주민들 뿐 아니라 구역 주변 주민들의 삶이 좀 더 윤택해 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상남도는 2022년 개발제한구역 내 주민지원사업으로 39개소에 총99억원(국비 78억, 지방비 21억)의 사업비를 투입 중에 있다. * 참고 : 주민지원사업 전후 사진
    • 경제/산업/농업
    2022-08-23
  • 진주 숲속어린이도서관 개발 프로그램 산림청 인증 받아
    - 전국 최초 책 연계 숲체험 프로그램‘책 읽고! 숲 걷고! 락(樂) forest!’ - 진주시, 도내 유일 3건 이상 산림교육 인증 프로그램 보유 진주시가 복합산림복지시설로 운영 중인 ‘월아산 숲속의 진주’ 내 숲속어린이도서관이 개발한 체험프로그램이 산림교육 프로그램으로 산림청의 인증을 받았다. 숲속어린이도서관은 지난해 11월 11일 개관하여 8월 20일 기준 1만5200명이 방문 이용했으며, 그중 2707명이 체험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이번에 산림청으로부터 인증 받은 프로그램은 ‘책 읽고! 숲 걷고! 락(樂) forest!로, 5~7세 어린이를 주요 대상으로 하여 함께 책 읽기, 숲과 생물 관찰하기, 자연물 만들기와 표현하기, 숲 체험 활동하기를 내용으로 하는 프로그램이다. 산림교육 프로그램 인증제도는 산림청에서 산림의 다양한 기능을 체계적으로 체험ㆍ탐방ㆍ학습할 수 있도록 산림교육의 안정성과 질적 수준을 인증해주는 제도이며, 서류와 현장심사를 거쳐 인증된다. ‘책 읽고! 숲 걷고! 락(樂) forest!는 심사 과정에서 교육적이면서 흥미롭고 새롭다는 호평을 받았다. 특히 책과 연계한 숲 체험이라는 차별화된 프로그램으로 어린이도서관 프로그램으로는 산림청에서 인증하는 최초의 산림교육 프로그램으로 기록되었다. 아울러 진주시는 2019년 산림교육 프로그램으로 인증받은 목공체험 내 손으로 만드는 탄소통조림과 유아숲체험 프로그램인 나무가 주는 선물도 기간 연장 인증을 받아 3건 이상의 산림교육 인증 프로그램을 보유한 경남 내 유일 지방자치단체가 되었다. 시 관계자는 “월아산 숲속의 진주가 산림교육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가다듬고 발전시켜 나가겠다”며 “월아산으로 이동이 어려운 분들을 위해서 찾아가는 숲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2024년 준공 예정인 치유의 숲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산림교육 및 산림복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문화/여행
    2022-08-23
  • 창원특례시, 이번엔 영국 수소산업 파트너로 주목받다
    - 창원특례시-주한영국대사관 공동 수소정책 간담회 개최 - 창원-영국 대표 수소기업간 비즈니스 소개 및 교류방안 협의 Net Zero(탄소 제로)를 위해 재생에너지 확대와 그린수소 산업을 육성하고 있는 영국이 수소산업의 파트너로 창원특례시를 직접 주목하고 창원과 영국의 수소기업 간 비즈니스 교류 활성화를 위해 상호 적극 협력할 전망이다. 창원특례시(시장 홍남표)는 19일 주한영국대사관과 공동으로 ‘창원-영국 간 수소정책 간담회(Changwon-UK Hydrogen Business Meeting)’를 개최하여 영국대사관으로부터 창원의 수소산업 역량을 인정받고, 창원 수소산업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국내 수소기관·기업과 영국 기업 간 본격적인 수소 비즈니스 교류를 위한 첫걸음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영국 정부는 COP26 개최 이후 탄소중립 실행을 선도하고, 에너지 안보 확립 등을 위해 수소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이에 필요한 한국 파트너 기관·기업 발굴의 일환으로 수소산업의 다양한 성과를 내고 있는 창원특례시와 수소분야 교류를 위해 주한영국대사관을 통해 실무협의를 거쳐 8월 19일 주한영국대사관 아스튼홀에서 한국 주재 영국기업 관계자 및 창원과 밀접한 관계의 수소기관·기업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창원-영국 간 수소정책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이날 간담회에는 ERM, UIB코리아, 헥사곤, 호리바 마이라, 로이드 선급, 마그마 카탈리스츠, 리카르도, 쉘 등 각 분야에서 세계적인 명성을 가지고 있는 영국 기업의 한국 주재 임원들이 참석하였으며, 창원특례시는 ‘창원 수소정책 추진 현황 및 수소기업 지원사항’을 발표하여 창원이 두산에너빌리티, 두산퓨얼셀, 현대로템, 광신기계공업, 범한퓨얼셀, 한국자동차연구원, 창원대학교 등 주요 기관·기업들과 각종 수소 사업을 어떻게 협력하여 어떤 성과를 내었는지, 수소 전주기별 우수한 설비 제조역량이 있는 창원을 통해 영국 기업들이 아시아 지역을 대상으로 수소 비즈니스 추진시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상세히 설명하여 영국대사관 및 영국 기업 관계자의 큰 관심과 호응을 받았다. 간담회에 참석한 헥사곤과 호리바 마이라 관계자들은 창원-영국 수소기업간 비즈니스 매칭 및 한국 기관·기업의 영국 진출을 적극 지원할 의향을, 리카르도와 쉘 관계자들은 제3국가 대상 수소 비즈니스 진출시 창원 기업과의 협업을 통한 사업 추진 의사를 밝혔으며, ERM과 UIB코리아 관계자들은 한국 기업 대상 Net Zero, ESG 분야 비즈니스와 신규 수소사업의 글로벌 보험·중개 컨설팅 협력 의향을 밝혔다. 창원과 영국의 기업 관계자들은 간담회 종료 후 주한영국대사관에서 마련한 Beer Networking을 통해 보다 구체적인 비즈니스 교류 방안을 협의하였고, 창원시청 담당공무원에게 빠른 시일내 구체적인 수소 비즈니스 교류를 위한 파트너 업체 발굴을 할 수 있도록 창원시의 협조를 당부하였다. 토니 클램슨 상무참사관, 신디 킴 무역총괄수석 등 주한영국대사관 관계자들은 “창원-영국 기업간 수소를 비롯한 많은 분야에서 활발한 비즈니스 교류를 희망하며, 창원과 영국이 앞으로 함께 한다면 큰 시너지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임채진 전략산업과장은 “이번 간담회를 통해 창원이 추진해왔던 수소산업의 성과와 역량이 영국의 관점에서 어떻게 평가되는지 알 수 있었고, 창원시의 노력이 우리 기업에게 어떠한 기회를 만들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하면서 “영국의 수소산업 육성에 창원시와 창원 기업이 파트너로 주목받고 교류를 제안받은 만큼, 창원 기업의 영국 진출을 적극 지원할 것이며, 또한 세계 최고 수준의 역량과 기술을 보유한 영국 기업이 창원 기업과 다양한 수소 비즈니스 분야에서 파트너로 협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경제/산업/농업
    2022-08-23
  • 경남도, 2022년 안심골목길 조성사업 대폭 확대!
    - 3개소(3억)→10개소(10억) 확대, 조명‧방범 시설 설치 등 환경개선 - 밀양시ㆍ고성군, 지역고유사업과 연계 지역주민 관심 및 사업효과 증대 - 등하굣길, 노후주택지, 버스터미널 주변 등 지역맞춤형 사업추진 경상남도(도지사 박완수)는 2022년 셉테드기법* 도입 안심골목길 조성사업을 당초 3개소에서 10개소로 확대 추진한다고 밝혔다. *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범죄예방 환경디자인 해당 사업은 조명‧방범시설 설치 등을 통한 불량주거지의 범죄 및 재난 등을 사전에 예방하고, 주거환경 개선을 통한 원도심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 셉테드기법 도입 안심골목길 조성사업은 2015년부터 매년 3~4개 대상지를 선정하여 현재까지 11개 시군, 29개 사업(총사업비 26억 4,900만원)을 추진하였다. 사업 추진을 통하여 범죄예방 효과뿐만 아니라 미관개선ㆍ지역 관광지 확보 등 각종 홍보효과도 톡톡히 보고 있어 주민만족도가 높은 사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올해는 지난 2월 사업이 선정된 김해시(고모마을)ㆍ의령군(중동마을)·고성군(고성시장) 등 3개소에 대해 디자인 설계가 완료되어 추진중에 있다. 안심골목길 조성사업이 완료되면, 노후주택이 밀집된 좁은 골목길, 인근 유흥시설과 재래시장에 인접한 우범지 등의 범죄발생률이 감소하고, 쾌적하고 주민이 행복한 환경으로 탈바꿈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고성군은 지역관광자원으로 활용가능한 ‘골목정원 조성사업’과 ‘안심골목길 조성사업’을 연계하여 사회관계망 서비스(SNS) 등을 통해 입소문을 타고 있으며, 밀양시는 밀양여고 주변 ‘밀양관아 공공디자인 개선사업’과 ‘안심골목길 조성사업’을 연계해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2021년 대한민국범죄예방대상’(주최/경찰청ㆍ중앙일보, 후원/JTBCㆍ네이버) 행안부장관표창을 수여하는 등 지역 고유사업과 연계하여 주민관심도를 제고한 사례가 있어 눈길을 끈다. 또한, 경남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전년도 범죄예방 관련 주민요구사항 조사결과 ‘방범시설 확충(47%)’이 ‘처벌강화(40%)’보다 높아 주민들은 사전에 범죄발생요소 제거 및 개선을 더 요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라 경상남도교육지원청과 경남경찰청의 적극적인 협조와 시ㆍ군 현장방문을 통해 안심골목길 조성사업대상지를 추가 선정하여 추진하기로 하였다. 추가 대상 사업지는 ▲통영시 통영여중ㆍ고 등하굣길 ▲김해시 진례면 고모마을 사업 연장 ▲양산시 백동초등학교 등하굣길 ▲하동군 진교버스터미널 일원 ▲함양군 함양초등ㆍ함양여중ㆍ위성초등학교 일원 ▲거창군 아림고등학교ㆍ거창도립대학 일원 등 6개 시군 7개소이며, 올해 기존 3개소를 포함하여 총 10개소에 대한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허동식 경남도 도시주택국장은 “2022년 안심골목길 조성사업을 추진ㆍ확대하면서 시ㆍ군의 적극적인 참여로 원활하게 사업대상지를 선정할 수 있었다”면서, “향후에도 범죄취약지에 대해 사전 범죄 예방이 될 수 있도록, 주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전했다.
    • 사회
    2022-08-23
  • 경상남도, 2023년 생활체육시설 기금사업 국비 공모 ‘전국 최대 확보’
    - 국민체육센터 건립‧공공체육시설개보수 사업, 국비 129억 원 확보 - 체육시설 이용자들의 편의 증진과 생활체육 활성화 기대 - 도민 누구나 생활권 내 쉽게 체육활동 가능토록 기반 확충 노력 결실 경상남도(도지사 박완수)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하는 ‘2023년 생활체육시설 기금사업’에서 국비 129억 원을 확보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사업은 ‘2023년 국민체육센터 건립지원 공모사업’에서 2개소(국비 40억)와 ‘공공체육시설개보수사업’에서 29개소(89억)가 각각 선정되어, 경남도는 전국 광역지자체 중 최대 규모로 신규 사업을 유치하는 쾌거를 이뤘다. 2023년 생활체육시설 기금사업은 올해 4월 공모를 시작해, 8월 중순 문화체육관광부의 선정위원회 심의와 국무조정실의 종합검토 등을 거쳐 8월 19일 최종 확정됐다. 이번 공모선정으로 건립될 국민체육센터는 수영장, 실내체육관, 헬스장 등 일상생활과 밀접한 체육시설을 도민 모두가 근거리에서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다. 도민의 건강을 증진하고 삶의 만족도를 높이며 열악한 지역 건설경기 부양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국민체육센터 공모에는 ‘밀양 나노 생활밀착형국민체육센터’와 ‘하동 악양 다목적 체육관 건립’ 근린생활형 국민체육센터 등 도내 2개소의 국민체육센터건립이 최종 확정됐다. 2025년까지 총 217억 원(국비 40, 지방비 177)을 투입해 도민건강 증진과 건전한 여가 생활을 즐길 수 있는 실내종합체육시설을 마련하게 됐다. 공공시설개보수 공모에는 ‘창원 축구센터 조명 타워 등기구 교체사업’와 ‘밀양 테니스장 개보수사업’ 등 도내 29개소의 공공시설개보수 사업이 최종 확정됐다. 29개 사업에는 총사업비 269억 원(국비 89억, 지방비 180억)이 투입될 예정이며, 사업이 완료되면 체육시설 이용자들의 불편 해소와 생활체육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경남도는 공모 이전부터 전 시군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홍보와 공모신청 상담(컨설팅)을 실시했다. 2022년 문체부 예산이 전년대비 국비 100억 원 감소에도 불구하고 경남도는 전년대비 국비 47% 증가된 예산을 확보하여 ‘국비 전국 최대 확보’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문체부 사전 건의 방문, 문체부 현장 실사 방문 시 적극적인 설명 등 체계적인 공모 준비를 한 경남도의 적극적인 노력이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박성재 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이번 공모선정과 국비확보의 성과는 민선8기 이후 도민 누구나 생활권 내에서 쉽게 체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확충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라며, “국민체육센터가 우수(엘리트)체육과 생활체육의 선순환구조의 기반이 되고, 도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건강과 행복이 실현되는 공감복지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경제/산업/농업
    2022-08-23
비밀번호 :